02-05 21:58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대학원 공부노트

어떻게 8번째일까? 본문

항공

어떻게 8번째일까?

lightbulb_4999 2022. 7. 19. 17:27

중앙일보

[휴대폰/모바일이 아닌 PC에서 보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1. 소련, Mikoyan-Gurevich MiG-19 (1952)
  2. 미국, North American F-100 Super Sabre (1953)
  3. 영국, English Electric Lightning (1954)
  4. 프랑스, Dassault Super Mystère (1954)
  5. 스웨덴, Saab 35 Draken (1955)
  6. 중국, Shenyang J-8 (1969)
  7. 일본, Mitusubishi F-1 (1975)
  8. 대만, AIDC F-CK-1 Ching-kuo (1989)
  9. 인도, HAL Tejas (2001)
  10. 한국, KAI KF-21 (2022)

위 언급된 전투기는 초음속 비행이 가능하며 양산까지 이뤄진 2세대 전투기이다.
이렇게 보면 한국이 열번째인데 왜 8번째인지 그 이유가 궁금해진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우리나라 정부가 중국을 의식하여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결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도 성능을 떠나 인도가 우리나라보다 먼저 초도비행을 실시하였으므로 어딘가 이상하다.

그렇다면 현재 4.5세대 전투기를 독자적으로 개발한 나라는 어디일까?
초음속 4.5세대 전투기로 본다면 8번째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전에 4.5세대 전투기의 정의를 생각해보도록 하자.
(원래 전투기의 세대별 구분은 공식적인 기준이 없다. 단지 이러한 시대별로 구분짓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다.)
첫 번째, 완벽한 스텔스 성능을 기대할 수는 없으나 저탐지 도료 및 형상 설계를 바탕으로 RCS 값을 낮추었다.
두 번째, 재료공학의 발전으로 탄소섬유와 같은 새로운 소재 즉, 신소재를 적용하였다.
세 번째, AESA, IRST 등 향상된 항전장비를 탑재하였다.

이를 만족하는 전투기라하면

1. 프랑스 Dassault Rafale (1986 - 2002)
: 기체에 스텔스 설계가 적용되었으며, AESA 레이더 그리고 복합소재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4.5세대이다.
: 1986년에 초도비행을 실시했을 때는 PESA 레이더를 탑재하였다.

2. 유럽연합 Eurofighter EF2000 (1994 - 2014)
: 영국,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가 합동으로 개발한 전투기로서 경량화를 위해 탄소섬유복합재를 사용하였다.
: 1994년에 등장했을 때에는 펄스 도플러 레이더를 사용하였으나 개량을 거쳐 오늘날에는 AESA를 탑재하였다.

3. 미국 Boeing F/A-18E/F Super Hornet (1995 - 2005)
: 각진 공기흡입구 등 스텔스 설계가 적용되었으며 복합소재를 사용했다.
: 2005년에 Block II가 되어서야 AESA 레이더를 탑재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APG-73 펄스 도플러 레이더를 사용하였다.

4. 일본 Mitsubishi F-2 (1995)
: 전투기 중에서는 세계 최초로 능동위상배열레이더 AESA를 탑재하였으며 주익에 신소재를 다양 활용하였다.
: 주익은 탄소섬유 복합 일체형 주익을 사용하는 등 개발을 도왔던 미국 측에서 되려 기술 이전을 요청하였을 정도였다.

5. 중국 Chengdu J-10B (2008)
: J-10A는 기계식 펄스 도플러 레이더를 사용하였으나 B형에 와서는 AESA를 비롯한 항전장비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정말 AESA 레이더가 맞느냐는 논란이 있으나 일단은 AESA라 하도록 하자.

6. 스웨덴 JAS 39E/F (2009)
: 1988년에 초도비행을 실시했을 때만 해도 펄스 도플러 기계식 레이더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상당한 개량이 이루어졌다.
: 스웨덴은 미국, 영국, 프랑스 그리고 이스라엘과 함께 AESA 개발에 필요한 원천기술을 가진 몇 안되는 나라이다.

7. 러시아 Su-30SM (2012)
: 4.5세대 전투기라 평가받는 전투기이다. 근간이 되는 Su-27은 1977년에 개발되었다.
: 러시아는 서방 국가들에 반해 항전장비 기술력이 낮은 편이라 직접적으로 AESA, IRST 탑재는 거론되지 않는다.

단, 러시아의 MiG-35와 인도의 HAL Tejas는 AESA를 탑재할 예정이라고 할 뿐 양산형 기체에 탑재하여 운용한 사례는 없었다. (물론, 러시아는 5세대 전투기 Su-57을 개발했다는 점은 참고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 대한민국이 KAI KF-21 보라매를 통해 세계에서 8번째로 4.5세대 전투기를 개발한 나라가 된다. 여러모로 세계에서 8번째라는 말은 초음속 전투기보다는 4.5세대 전투기를 개발하였다고 보는 편이 맞을 것 같다.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격 무기 체계  (0) 2022.08.14
F-4EJ Phantom II  (0) 2022.07.03
급강하 폭격기와 뇌격기  (0) 2022.06.24
PIE FACE  (0) 2022.06.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