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항공/중국과 대만 (15)
대학원 공부노트
1972년 2월 21일, 중소 국경 문제(1969)로 소련과의 관계가 극악으로 치닫고 있던 중국 베이징 공항에 미국 국적기 한 대가 착륙했다. 비행기는 미 공군 소속의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이었으며 비행기에서 내린 사람은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이었고 그를 맞이하는 사람은 중국 총리 저우언라이였다. 그리고 이들의 만남은 중국과 미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시점에 이뤄졌다. 당시 미국은 극동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느라 정신없었다. 휴전선과 타이완 해협 사이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무력 충돌이 반복되었고, 프랑스가 완벽하게 쫓겨난 인도차이나 반도에서는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의 전복을 꾀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 미국이 있었다. 이때 공화당 출신의 리처드 닉슨은 베트남전 종결을 선고 공약으..
1960년대 중국은 소련의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항공산업을 이끌어가야 했다. 게다가 대약진 운동으로 1950년대 말 소련에서 들어온 군용기들은 196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생산에 들어가 공군에 인도될 수 있었다. 그렇게 1952년에 소련으로부터 들여온 Il-28 폭격기는 1965년이 되어서야 Harbin H-5라는 이름으로 역설계에 성공해 국내에서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1959년에 처음으로 날아오른 MiG-19의 면허생산형인 J-6은 1964년이 되어서야 인민해방공군에 인도될 수 있었다. 이후 J-6은 1965년에 레이더 수납을 위해 공기 흡입구를 동체 측면으로 옮긴 지상 공격기 Nanchang Q-5로도 개조되었다. (그러나 기술력이 부족해 실제로 레이더를 수납하는 일은 없었다고 한다.) 이처럼 중국은..
논란의 여지가 많으나 오늘날 J-20과 FC-31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선보이며 무시할 수 없는 공군력을 자랑하는 중국은 믿기 어렵겠지만 1990년대까지만 해도 수적 우세만 가질 뿐 질적으로는 북한과 별 다를 바가 없었다. 오히려 대만과 일본은 중국보다 보유한 전투기 수는 적었음에도 중국의 항공 전력을 크게 의식하지 않았고 대내외적으로도 이들이 중국보다 더 강한 공군력을 가졌다고 평가되었다. 그리고 이런 중국의 독자적인 전투기 개발 역사는 1950년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을 계기로 시작된다. 1949년 10월 1일, 장제스와 오랜 내전 끝에 마오쩌둥은 중국 본토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음을 선포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11월부터 북한을 도와 전쟁에..
Northrop은 1970년대 F-5를 도입한 국가들이 새로운 기체를 도입할 시점에 맞춰 1970년대 초부터 F-5 성능 개량 사업을 구상했다. 1962년부터 양상된 F-5A/B는 미 공군에서는 도입하지 않았음에도 F-104와 같은 마하 2급 전투기를 도입하기 어려운 국가들에 미국이 무상으로 제공해주면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운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미국의 무상원조 정책으로 널리 도입된 F-5를 고객들의 요구에 맞게 적절히 개량해줄 수 있다면 충분히 추진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사업이라 판단한 것이다. 국제 사회 분위기도 Northrop을 도와주었다. 첫 번째,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미사일은 명중률이 낮아 BVR(Beyond-Visual Range) 능력의 부재는 크게 다가오지 않았다. 하지만, 1970..
1949년 10월 1일, 중국 본토에 공산주의의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을 때부터 장제스의 중화민국과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 중 어느 나라가 중국을 대표해야 하는지는 끊임없는 논란이 되어왔다. 그러나 UN이 인정하는 중국 정부는 마오쩌둥의 공산당 정부(중국)가 아니라 미국의 지지를 받는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대만)였다. 마오쩌둥은 1950년부터 "세계에는 오직 하나의 중국만이 있다"라고 천명하면서 "대만은 중국의 영토이므로 대만 정부 대표는 즉각 UN에서 쫓아내야 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대표를 UN 주재 중국의 유일한 합법 대표로 인정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주장과 중국 대표권 문제는 미국을 주도로 한 서방의 반대로 매번 부결되었다. 그래서 중화인민공화국은 세계 최대의 인구를..
197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미국과 대만 사이의 관계가 틀어지기 시작한다. 우선, 1969년에 베트남 철군을 공약으로 내세운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이 미국의 제 3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더니 1969년 7월 25일, 괌에서 "강대국의 핵에 의한 위협의 경우를 제외하고 아시아 각국은 내란이 발생하거나 침략을 받는 경우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닉슨 독트린을 발효한다. 이는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미군은 함부로 아시아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대만은 중국으로부터 핵위협을 받지 않는 이상 미군의 적극적인 개입을 기대할 수 없음을 의미했다. 이와 함께 미국은 헨리 키신저를 비밀리에 중국으로 파견했다. 그러더니 1년 뒤 대만은 UN 상임이사국 지위를 박탈 당하고 만다. 말이 자진 사퇴..
중국의 항공모함 건조는 절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그 시작에는 1985년 호주로부터 들여온 멜버른(Melbourne) 항공모함이 있다. Melbourne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수많은 항공모함을 건조한 영국이 전쟁이 끝나면서 호주에 판매한 마제스틱(Majestic)급 항공모함 중 하나였다. 이후 1980년대에 호주는 구식이 되어버린 멜버른을 중국에게 팔아 해체를 맡겼고 영국으로부터 인빈시블(Invincible)급 항공모함을 들여오려고 했다. 그러나 1982년 포클랜드 전쟁으로 영국의 항모 전력 감축은 무산되었고 자연스레 호주의 항공모함 신규 도입 사업은 좌절되고 말았다. 이후 중국의 손에 들어간 멜버른 항공모함은 중국 기술자들의 철저한 조사를 받게 되었고 이를 통해 중국은 증기 캐터펄트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