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항공 (31)
대학원 공부노트
Shenyang J-8II Finback-B 1960년대 중반부터 설계에 들어가 1969년에 초도비행을 실시한 J-8은 1976년에 마오쩌둥이 물러나면서 종결된 문화 대혁명으로 1980년대에 와서야 극초기형이 일선 부대에서 운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다보니 1980년대에 등장했지만 1960년대 기술로 제작된 J-8은 등장하자 마자 구식이 되어버렸다. 물론, 1981년 4월 24일, 항전장비를 개선한 J-8I가 초도비행을 마쳤지만 이마저도 인민해방공군이 요구한 성능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이는 탐지거리가 길고 감도가 좋은 레이더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대형 레이더가 필요했고 이를 수납하기 위해선 공기 흡입구가 기존의 MiG-21과 같은 노즈 인테이크가 아닌 측면으로 옮겨져야만 했는데, 당시 중국 기술진들에게는 이..
Turbo-Jet engine Klimove VK-1 > PF-1 for JJ-1 and WP-5 for J-5 (license built MiG-17) Tumanskt R-9 engine > WP-6 engine for J-6 (license built MiG-19) Tumansky R-13 engine > WP-13 engine for J-7 (based on MiG-21) Tumansky R-29 engine > WP-15 engine for J-13 (cancelled) 이후로는 연비가 나쁜 터보제트 엔진은 더 이상 개발하지 않는 듯 하다. Turbo-Fan engine J79 engine from F-4 Phantom II > WS-6 Turbofan engine (failed) * WS-8 e..
과거부터 중국은 질보다는 양으로 승부를 보자는 마오쩌둥의 인민전쟁 전략을 바탕으로 공군력을 확장해왔다. 즉, 성능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많이 생산하는 전략을 세웠다. 그러나 1991년 걸프전에서 이라크 공군이 이륙도 하지 못한 채 미 공군에 의해 박살 나는 것을 보고는 중국 인민군은 더 이상 양으로 승부를 볼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곤 대대적인 공군력 개편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J-11A가 그 개편의 상징이었다. Shenyang J-11A 1980년대 서방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들의 공군 전력을 빠르게 증강시키고자 했던 중국은 1989년 천안문 사태로 서방과의 관계가 틀어지면서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고 만다. 한편, 레이건 행정부에 의해 시작된 군비 경쟁 및 경제 제재와 끝이 보이지 않던 아프간 전쟁(1..
Shenyang J-11B Flanker-L 앞서 J-11A의 갑작스러운 생산 중단은 중국이 Su-27SK를 무단으로 분해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중국 측에서는 러시아에서 제공한 Su-27SK의 부품이 불량이었고 이로 인해 J-11A가 원래만큼의 성능을 보여주지 못해 이를 해결하고자 부득이하게 기체를 분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불법적인 역설계를 합리화하기 위한 핑계에 불과하며 이 사건을 빌미로 러시아는 중국에 대한 Su-27SK 부품 지원을 중단한다. 이후 중국은 2007년부터 독자적으로 부품을 생산하여 중국판 Su-27SK라 불리는 J-11B의 양산을 시작하였다. 이 점에서도 중국의 Su-27SK 무단 복제는 직도입한 시점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러시아제 장비 대신 중국에서 직접 설계..
Shenyang J-15 Flying shark 2001년 중국은 우크라이나로부터 소련의 Su-33 시제기 중 하나인 T-10K-3을 확보한다. 이때 중국이 확보한 T-10K-3 기체는 10년가량 방치되어 복원이 불가능할 정도로 망가진 기체였으나 강화된 동체와 주익 접힘 장치, 강화된 랜딩기어와 어레스팅 훅 등 함재기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기술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 그리고 이는 오늘날 러시아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Su-33 뿐만 아니라 전 세계 함재기가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핵심적인 기술들이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항공모함을 건조할 능력과 자본 모두 부족했으며 Su-33 시제기는 있지만 함재기를 개발할 생산라인이 없어 중국에게 기체를 넘겼다. 덕분에 중국은 해당 기체로부터 함재기 개발에..
Sukhoi Su-35 1991년에 소련이 해체되면서 소련이 미국에 대항하여 개발한 수많은 무기들이 중국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중국은 단숨에 항공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바람직한 모습은 아니지만 이를 통해 자신들의 항공우주 기술력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단순히 분해를 통하여 습득한 기술로는 원본을 따라갈 수 없었고 특히 항공기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엔진이 빈번히 문제를 일으켜 중국 전투기는 고질적인 ‘심장병’을 가지고 있다는 소리까지 들어야 했다. 물론, 중국은 이를 대외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이지만 중국제 엔진을 탑재한 J-11B가 인민해방공군으로부터 거부당한 것처럼 내부적으로는 이를 인정하는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중국이 2010년대까지 준수한 성능의 엔진을 개발..
1972년 2월 21일, 중소 국경 문제(1969)로 소련과의 관계가 극악으로 치닫고 있던 중국 베이징 공항에 미국 국적기 한 대가 착륙했다. 비행기는 미 공군 소속의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이었으며 비행기에서 내린 사람은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이었고 그를 맞이하는 사람은 중국 총리 저우언라이였다. 그리고 이들의 만남은 중국과 미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시점에 이뤄졌다. 당시 미국은 극동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느라 정신없었다. 휴전선과 타이완 해협 사이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무력 충돌이 반복되었고, 프랑스가 완벽하게 쫓겨난 인도차이나 반도에서는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의 전복을 꾀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 미국이 있었다. 이때 공화당 출신의 리처드 닉슨은 베트남전 종결을 선고 공약으..
1960년대 중국은 소련의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항공산업을 이끌어가야 했다. 게다가 대약진 운동으로 1950년대 말 소련에서 들어온 군용기들은 196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생산에 들어가 공군에 인도될 수 있었다. 그렇게 1952년에 소련으로부터 들여온 Il-28 폭격기는 1965년이 되어서야 Harbin H-5라는 이름으로 역설계에 성공해 국내에서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1959년에 처음으로 날아오른 MiG-19의 면허생산형인 J-6은 1964년이 되어서야 인민해방공군에 인도될 수 있었다. 이후 J-6은 1965년에 레이더 수납을 위해 공기 흡입구를 동체 측면으로 옮긴 지상 공격기 Nanchang Q-5로도 개조되었다. (그러나 기술력이 부족해 실제로 레이더를 수납하는 일은 없었다고 한다.) 이처럼 중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