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항공 (31)
대학원 공부노트
미국과 소련의 개입으로 전쟁이 마무리되었지만 2차 중동전쟁 이후 이집트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오히려 미국과 소련이 개입하면서 중동에는 군비 경쟁이 가속화되었다. 이집트는 이스라엘을 반격하기 위해 소련의 군사 원조를 받기로 하고 이를 통해 최첨단 무기들을 대거 들여온다. 대표적으로 소련에서도 이제 막 배치하기 시작한 MiG-21이 이집트에 들어온다. 그리고 소련이 저렴한 가격으로 MiG-21을 제공해 준 덕분에 이집트는 빠르게 공군력을 키워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소련의 지원에 밀려 이집트는 독자적인 제트 전투기 HA-300의 개발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이집트가 추진한 HA-300 제트 전투기 개발 사업의 시작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Me262 Schwalbe를 포함해 걸출한 전투..
논란의 여지가 많으나 오늘날 J-20과 FC-31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선보이며 무시할 수 없는 공군력을 자랑하는 중국은 믿기 어렵겠지만 1990년대까지만 해도 수적 우세만 가질 뿐 질적으로는 북한과 별 다를 바가 없었다. 오히려 대만과 일본은 중국보다 보유한 전투기 수는 적었음에도 중국의 항공 전력을 크게 의식하지 않았고 대내외적으로도 이들이 중국보다 더 강한 공군력을 가졌다고 평가되었다. 그리고 이런 중국의 독자적인 전투기 개발 역사는 1950년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을 계기로 시작된다. 1949년 10월 1일, 장제스와 오랜 내전 끝에 마오쩌둥은 중국 본토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음을 선포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11월부터 북한을 도와 전쟁에..
[휴대폰/모바일이 아닌 PC에서 보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소련, Mikoyan-Gurevich MiG-19 (1952) 미국, North American F-100 Super Sabre (1953) 영국, English Electric Lightning (1954) 프랑스, Dassault Super Mystère (1954) 스웨덴, Saab 35 Draken (1955) 중국, Shenyang J-8 (1969) 일본, Mitusubishi F-1 (1975) 대만, AIDC F-CK-1 Ching-kuo (1989) 인도, HAL Tejas (2001) 한국, KAI KF-21 (2022) 위 언급된 전투기는 초음속 비행이 가능하며 양산까지 이뤄진 2세대 전투기이다. 이렇게 보면 한국이 열번째..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815년에 영국의 식민지가 된 이후 1910년에는 영국 자치령으로 바뀌었으며 1961년까지 영연방에 소속되어 남아연방이라 불렸다. 하지만, 1958년부터 극단적 인종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추진하면서 영연방 회원국가들과 갈등을 빚더니 1961년에 영연방에서 탈퇴하고 만다. 그럼에도 1956년 수에즈 운하 봉쇄를 경험한 영국은 희망봉 해상 루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어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군수지원 협상 등을 논의하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했다. 덕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62년에 영국으로부터 16대의 Blackburn Buccaneer 전폭기를 도입하는 등 영국과 활발히 교류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철회할 기미가 보이지 않자 1..
Northrop은 1970년대 F-5를 도입한 국가들이 새로운 기체를 도입할 시점에 맞춰 1970년대 초부터 F-5 성능 개량 사업을 구상했다. 1962년부터 양상된 F-5A/B는 미 공군에서는 도입하지 않았음에도 F-104와 같은 마하 2급 전투기를 도입하기 어려운 국가들에 미국이 무상으로 제공해주면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운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미국의 무상원조 정책으로 널리 도입된 F-5를 고객들의 요구에 맞게 적절히 개량해줄 수 있다면 충분히 추진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사업이라 판단한 것이다. 국제 사회 분위기도 Northrop을 도와주었다. 첫 번째,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미사일은 명중률이 낮아 BVR(Beyond-Visual Range) 능력의 부재는 크게 다가오지 않았다. 하지만, 1970..
1949년 10월 1일, 중국 본토에 공산주의의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을 때부터 장제스의 중화민국과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 중 어느 나라가 중국을 대표해야 하는지는 끊임없는 논란이 되어왔다. 그러나 UN이 인정하는 중국 정부는 마오쩌둥의 공산당 정부(중국)가 아니라 미국의 지지를 받는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대만)였다. 마오쩌둥은 1950년부터 "세계에는 오직 하나의 중국만이 있다"라고 천명하면서 "대만은 중국의 영토이므로 대만 정부 대표는 즉각 UN에서 쫓아내야 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대표를 UN 주재 중국의 유일한 합법 대표로 인정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주장과 중국 대표권 문제는 미국을 주도로 한 서방의 반대로 매번 부결되었다. 그래서 중화인민공화국은 세계 최대의 인구를..
197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미국과 대만 사이의 관계가 틀어지기 시작한다. 우선, 1969년에 베트남 철군을 공약으로 내세운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이 미국의 제 3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더니 1969년 7월 25일, 괌에서 "강대국의 핵에 의한 위협의 경우를 제외하고 아시아 각국은 내란이 발생하거나 침략을 받는 경우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닉슨 독트린을 발효한다. 이는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미군은 함부로 아시아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대만은 중국으로부터 핵위협을 받지 않는 이상 미군의 적극적인 개입을 기대할 수 없음을 의미했다. 이와 함께 미국은 헨리 키신저를 비밀리에 중국으로 파견했다. 그러더니 1년 뒤 대만은 UN 상임이사국 지위를 박탈 당하고 만다. 말이 자진 사퇴..
1990년대에 들어서자 인도가 보유하고 있던 항공모함들은 심각한 노후화 문제를 겪게 된다. 아무리 수명 연장 사업을 하여도 제2차 세계대전에 건조되어 함령이 40년이 넘어가는 항공모함이다보니 세월을 무시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상황이 이러다보니 인도는 후속 항공모함 도입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물론, 인도는 Vikrant를 대체하고자 1980년대 말부터 Air Defense Ship, ADS 사업을 통해 신형 항공모함 2척을 건조할 계획이었으나 검토 결과 자국산 항모는 2010년이 되어서야 실전 배치가 이뤄질 것 같아 공백기를 피할 수는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1997년 1월 31일에 Vikrant 항공모함이 퇴역하면서 인도가 운용할 수 있는 항공모함은 Viraat 한 척만 남게 된다...